do it for her

R/rebecca sugar 2019. 2. 26. 10:27




-좋아, 모든 건 자세를 어떻게 잡는가에 달려있어

기억해


그를 위한 거야

몇 번이고 해야 해

그녀를 위해 하는 거니까

그러니까 내 말은

그를 위해서 말야


보폭을 크게 하고

상체를 낮춰

전진할 때 가장 중요한 건 균형이야

오른발, 왼발

자 이제 더 빠르게

후진할 때도 적에게서 눈을 떼지 마


∙보폭을 크게 벌리고 

-좋아

∙상체를 낮추고 

-그렇지

∙전진할 땐... 

-집중해! 스티븐을 죽일 셈이야?

∙오른발, 왼발

-옳지, 좀 더 무게를 실어

네가 가진 건 너 자신 뿐이야

모든 걸 바칠 준비가 돼 있어야지


전장에서 모든 게 혼란에 빠져 있을 때

네가 믿을 건 오직

너의 감정과 너의 전략과 너의 검 뿐이야

전쟁이 끝난 후 너희가 함께 보낼 삶에 대해서만 생각해

그리고 그녀를 위해 싸워

이길 방법은 그것 뿐이야

그녀를 위해 싸워

그러니까 내 말은

그를 위해서...


마음 깊은 곳에선 이미 알고 있을 거야

넌 전사로 태어나지 못했다는 거

하지만 전투에 적합하지 않다는 게

전투가 불가능하다는 뜻은 아니야

그들은 네가 유리하다는 걸 몰라

누군가를 위해 산다는 건

그를 위해 죽을 수도 있다는 뜻이란 걸


∙마음 깊은 곳에선 이미 알고 있어요

내가 단지 인간일 뿐이라는 거

-사실이야

∙하지만 검을 쥐고 싸울 수 있다는 것도 알아요

- 하지만 검을 쥐고 싸울 수 있다는 것도 넌 알지

∙내 짧은 목숨을 다 해 

- 좋아

∙변화시킬 수 있어요

-아주 좋아!

∙내가 그를 위해, 그의 기사가 될 거예요

그를 위해 싸울 거예요

그녀를 위해서요

-그녀를 위해 말이지

좋아, 다시 연습해보자

∙네, 선생님

-그녀를 위해서, 자, 뭐라고?


∙그를 위해서요



You do it for him

And you would do it again

You do it for her, that is to say

You'll do it for him

Keep your stance wide

Keep your body lowered

As you're moving forward

Balance is the key

Right foot; left foot

Now go even faster

And as you're moving backwards

Keep your eyes on me

Keep my stance wide (Good)

Keep my body lowered (Right)

As I'm moving forward (Concentrate!)

Don't you want him to live!?

Right foot; left foot

Yes, but put your whole body into it!

Everything you have, everything you are

You've got to give

On the battlefield

When everything is chaos

And you have nothing but the way you feel

your strategy and a sword

You just think about the life you'll have together after the war

And then you do it for her

That's how you know you can win

You do it for her, that is to say

You'll do it for him

Deep down you know

You weren't built for fighting

But that doesn't mean

You're not prepared to try

What they don't know

Is your real advantage

When you live for someone

You're prepared to die

Deep down I know

That I'm just a human (True)

But I know that I can draw my sword and fight

With my short existence (Good)

I can make a difference (Yes, excellent!)

I can be there for him

I can be his knight

I can do it for him

You'd do it for her

Okay, now do that again (Yes, ma'am.)

You do it for her, that is to say

You'll do it for him



do it for her / steven universe o.s.t

translated by lonegunman


'R > rebecca sug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n't cost nothing (+ reprise)  (0) 2016.07.25
be wherever you are  (0) 2016.06.27
fry song  (0) 2016.06.27
love like you  (0) 2016.06.26
everything stays  (0) 2016.06.26
AND

stray

C/calexico 2019. 2. 19. 11:21




온종일 비가 쏟아지던 날이었어

그는 연인의 무덤가에 서서

그녀의 가족과 친구들 모두를 향해 작별인사를 보냈어

고물차에 짐을 싣고

빗속을 달려

노인네가 살고 있는

폐허 같은 교회에 당도했지


노인이 말했어

“엇나가더라도 정신 똑바로 차리게, 나의 친구여”


노인은

닳고 낡은 보금자리를 결코 떠나지 않은

이름도 없는 이들의 의미도 없는 이야기를 늘어놨어

그리곤 평생의 연구로 이야기 뒤에 숨은 진실을 알아냈다 했지

숯과 잿더미만 남은 속에서 건져낸 단 하나의 진실은-


길을 잃더라도 네놈이 어디로 가는진 알아야 한다고, 친구



동굴 속에서도 꽃은 피게 마련이지

아름다우나

그 또한 보살핌이 필요해

제 아무리 아름다운 꽃이라도 결국은 시들고 져버리고 마는 법

그리되고 나면 그 꽃은

백주대낮 맺힌 한 줌 어둠에 불과하지 않겠는가





It rained the whole day he spent at his lover's grave

Said his goodbyes to her family and friends

Packed his things in a rusted car and rode off in the rain

He came upon a church in ruin with an old man dwelling within


Who said, "Watch where you straying, my friend"


Old man spoke of meanings lost and without name

Never shifting from their worn and weathered place

What was found in the endless search for truth behind the tale

Beneath the ash and ember lies only one story to tell


Watch where you straying my friend


There's a flower that grows in a cave

So lovely to see but need to be saved

Its' beautiful blossom will wither and die

If ever this flower leave the darkness for daylight



stray / calexico

translated by lonegunman


'C > calexi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nding field  (0) 2019.12.17
falling from the sky  (0) 2019.02.19
trigger  (0) 2009.04.03
sunken waltz  (0) 2009.04.03
alone again or  (0) 2008.11.08
AND

falling from the sky

C/calexico 2019. 2. 19. 11:18




꿈을 꿨어

너는 ‘파이브 앤 다임’ 스토어에서 산

낡은 기타를 연주하고 있었어

노래는

황홀한 화음 속에 갇혀있었고

너는 말했어

이건

너무 슬퍼서 부를 수 없는 노래야


아무데도 갈 곳이 없을 때 넌 어딜 향해 추락하니

아무도 만날 사람이 없는데 넌 어디로 가고 있니

아무것도 느껴지지 않으면서 무얼 보려 하니

온전히 혼자가 돼버려도 감각은 남아있니?



이건 꼬리를 물고 끝없이 이어지는 돌림노래야

마치 구름 속에 갇힌 새처럼

별빛으로부터 차단된 채

희미한 빛을 좇아 날지만

어디가 위인지 아래인지도 더는 분간이 안 돼


어디도 갈 데가 없는데 추락할 데는 있니

볼 사람도 없으면서 너는 어디를 가니

아무 감각도 없이 무얼 보려 하는 거니

덩그러니 혼자, 감각이 남아있긴 하니



기다리는 건 지긋지긋해

머잖아

구름이 흩어지고

붙들고 있던 널 놓아주면

언젠가

우린 저 하늘 언저리에

우리 자리를 찾아낼 거야




[Verse 1]

Well, I dreamt you were playing

An old guitar from a five and dime

There was a song trapped inside

With the sweetest tune

You said it was sad to sing


[Chorus]

Where do you fall when you have nowhere to go?

Where do you go where you have no one to see?

What do you see when you have nothing to feel?

What do you feel when you're all alone?


[Verse 2]

It’s a song that circles round and around

Like a bird lost inside a cloud

Cut off from the stars and they’re guided in the light

Not sure which way is up or down anymore


[Chorus]


[Outro]

Tired of waiting

Clouds will be breaking

Soon you'll escape and

Someday we'll find a place in the sky



falling from the sky / calexico

translated by lonegunman



'C > calexico'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nding field  (0) 2019.12.17
stray  (0) 2019.02.19
trigger  (0) 2009.04.03
sunken waltz  (0) 2009.04.03
alone again or  (0) 2008.11.08
AND

to this day

S/shane koyczan 2019. 2. 14. 20:47




어렸을 때 난

돼지갈비(폭챱)와 가라데챱이 같은 건 줄 알았어

둘 다 돼지갈비를 가리키는 말인 줄 알았던 건

할머니가 내가 그러는 걸 귀엽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고

내가 돼지갈비를 너무 좋아하니까 그냥 그러도록 내버려두신 때문이었어


여기까진 별 일 아니지


어느날

뚱보 꼬마의 신체는 나무타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걸 깨닫기 전이었지

나무에서 떨어지는 바람에

내 몸의 오른쪽 절반이 온통 멍 든 적이 있어


할머니한테는 말하지 않았어

거기서 놀면 안 된다고 하셨던 걸 어긴 게 들키면 

더 혼나기만 할까봐 무서웠거든


며칠 후, 체육 선생님이 내 몸에 든 멍자국을 보셨어

나는 곧장 교장실로 불려갔지

거기서 또 무슨 작은 방으로 보내졌는데

웬 엄청 친절한 아줌마가

나에게 집에서의 일상에 대해

이것저것 물어보기 시작했어


거짓말을 할 이유가 없었지

적어도 내가 생각할 때

인생은 꽤나 즐거운 것이었으니까

그래서 그녀에게 말했어 ‘제가 울상을 하면

우리 할머니가 저한테 가라데챱을 먹여요’


이 대답 때문에 대대적인 조사가 시작됐고

나는 3일 동안이나 집으로부터 격리 됐어

그러고나서야 그들은 마침내 어쩌다 멍이 든 거냐고 내게 물을 생각을 떠올린 거지


이 황당한 이야기는 엄청난 속도로 전교에 퍼졌고

그렇게 나는 최초의 별명을 얻게 됐어


돼지갈비


지금까지도

난 돼지갈비가 싫어



이런 어린 시절을 겪은 아이가

나 뿐만은 아닐 거야

마치 말로 받은 상처는

부러진 뼈만큼 아프지 않다는 듯

별명으로 돌팔매질 해대는 사람들에 둘러싸인 아이들...

갖은 말들에 얻어맞다보면

우린 결국 우리 같은 걸 사랑할 사람은

세상 어디에도 없을 거라 믿으며 자라게 되지

영원히 외로울 거라 믿으며

우리에게 햇살처럼 따뜻한 온기를 품게 해줄 이는

결코 만날 수 없을 거라 믿으며...

이게 그들이 공구 창고에서 우릴 위해 만든 선물일까

그래서 우리가 아무것도 느끼지 않으려,

스스로를 텅 비게 만들려 하면 할수록

우리의 망가진 심장은 피를 토하듯 슬픈 노래를 토해내는 걸까


그러니 이 고통이 뼈가 부러지는 고통은 아니라고 말하지 마

자의식 과잉을 외과의가 도려낼 수 있는 무언가처럼,

결코 다른 부위로 전이되지 않는 무언가처럼 말하지 마


전이되고도 남으니까



그녀는 8살이었어

3학년이 된 첫 날부터

그녀는 못생겼다고 놀림을 받았어

뒤에서 던져대는 잘근잘근 씹은 종이뭉치를 맞지 않으려고

우린 둘 다 교실 맨 뒷자리에 앉기 시작했어

그러나 복도는 전쟁터였어

셀 수도 없는 비참한 날들 끝에 우린 적의 수에 압도당하기 시작했고

결국 쉬는 시간에도 교실에 남았어

밖은 더 끔찍하니까

밖에선 도망치는 연습을 하거나

우리가 거기 있다는 단서를 하나도 주지 않도록 동상처럼 서있는 법을 배워야 했어

5학년이 되자 아이들이 그녀의 책상에 글귀를 새겨놨어

‘개조심’


지금까지도,

사랑하는 남편을 얻은 지금까지도

그녀는 자기가 아름답지 않다고 생각해

단지 태어날 때부터 큰 점이

얼굴 절반을 덮고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애들은 그녀를 보고

누가 지우려다 실패한

잘못 쓴 답안지 같다고 놀렸어

그들은 결코 이해하지 못하겠지

그녀의 두 아이에게 

아름다움의 정의는 ‘엄마’라는 글자에서부터 시작된다는 걸

그녀의 아이들은 그녀의 피부를 보기 전에 그녀의 마음을 보았고

그녀는 아름다움 그 이상이라는 걸



그는

다른 가계도에 접목된

꺾여진 가지였어

-입양아

그가 입양된 건 단지 그의 부모가 다른 운명을 선택한 때문은 아니었지

혼자 버려졌다는 사실 하나와

그 밖의 비극 둘을 섞어 만든 칵테일이 되었던 건

그가 고작 세 살 때의 이야기

8학년 때부터 받기 시작한 검사와 약물 치료는

그의 자아를 형성했고

오르막은 태산과 같았으며

내리막은 깎아지르는 절벽과도 같은 삶이 시작됐어

네다섯 번의 자살기도

항우울제의 파도

사춘기 내내 약쟁이라 놀림 받았던 건

1퍼센트는 실제로 그가 먹는 약 때문이었고

99퍼센트는 그냥 아이들의 잔인함 때문이었지

10학년 때 자살을 시도했던 건

아직 엄마 아빠라 부를 사람들이 있었던 시절

그들이 무신경하게 내뱉은 ‘이겨내라’는 그 말 때문이었어

마치 우울증이란 게

구급 상자에 든 물품으로

손쉽게 고쳐지는 병이라는 듯 말야


지금까지도

그는 양쪽 끝에 도화선이 달린 폭탄과 같지

무너지기 직전의 하늘이 어떤 모양으로 휘어지는지

그는 아주 세세히 묘사해줄 수 있어

하지만 아무리 그에게서 영감을 받는다고 칭송하는 친구들이

구름떼처럼 그를 둘러싸고 있다 해도

여전히 그는

아무것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 사이의 가십 거리에 불과하지

때로는 약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느냐가

중독의 문제가 아니라

정신 건강의 문제일 때도 있어



이렇게 자란 아이들이 우리 뿐만은 아니야

지금까지도

아이들은 언어 폭력에 시달리지

야, 멍청아

바보야

같은 고전에서부터

모든 학교는 매년 업데이트 되는

별명들의 무기고를 보유하고 있는 것 같아

아무도 듣지 않는 학교에서

한 아이가 무너진다면

과연 거기선 소리가 날까?

아니면 배경 음악처럼 끝도 없이 반복되는

‘애들이 잔인할 때도 있지’란 말의 뒤 편에 흐르는

잡음으로 남겨질 뿐일까


모든 학교는 거대한 서커스 텐트처럼

곡예사에서 사자 조련사,

광대에서 흥행 배우까지의 기나긴 서열로 이루어져 있고

그 안에서도 우리는 맨 뒷줄에 서 있어

우린 괴물들이니까

가재 손을 달고 있는 소년

수염난 아가씨들

절망과 고독을 저글링하는 기형아

혼자 카드 놀이를 하고

병 돌리기를 하고

스스로의 상처에 입을 맞춰 치유하려 애쓰는...

그러나 모두들 잠든 밤이 오면

우린 외줄 위를 걷지

그건 연습이지만

그래, 우리 중 누군가는

실제로 추락하기도 해


난 그들에게

이 모든 빌어먹을 것들이 전부 다 잔여물일 뿐이라고 말해주고 싶어

우리가 우리 자신이라 믿었던 무언가를 마침내 깨부수기로 결심한 순간

이 모든 게 파편에 불과하게 된다고

만일 너 스스로에게서 어떤 아름다움도 찾아내지 못하겠거든

제대로 된 거울을 사

더 가까이서 들여다보든

더 오래 들여다보든 해봐

왜냐하면 그 안엔

남들이 다 너를 두고 끝났다고 말할 때에도

널 계속 나아가게 만든 무언가가 존재하니까


넌 네 부서진 심장 위에 스스로 깁스를 두르고

그 위에다 싸인했어

“너희가 틀렸어’

라고...


왜냐하면

어쩌면 넌 어떤 패거리에도 속하지 못했을 테니까

어쩌면 농구 경기나 다른 무엇을 할 때든 애들이 널 맨 마지막까지 뽑아주지 않았을 테니까

어쩌면 발표 시간에 깨진 이빨이나 상처들을 준비해갔지만 너에겐 말할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을 테니까

왜냐하면

네가 아는 모든 사람들이 널 파묻어버리고 싶어하는데

네가 어떻게 그 땅을 딛고 제대로 설 수 있었겠어

넌 그들이 다 틀렸다고 믿어야 해


틀린 건 걔네들이어야 한다고


그렇지 않다면

우리가 왜 아직 여기 존재하겠어

우린 부적응자들을 격려해주라고 배우며 자랐잖아

왜냐하면 그들에게서 우리 자신을 보니까

우리는

우리가 결코 남들이 우리에게 붙인 멸칭과 같은 존재가 아니라는 믿음에 뿌리 내린 줄기들이야

우리는 텅텅 빈 채 도로 위에 버려진 고물차들이 아니라고

만에 하나 우리가 그렇다 하더라도

걱정하지 마

가스를 사러 좀 걸어야 할 뿐이야

우리는 ‘꺼져, 우린 살아남았어’ 학급의 졸업생들이지

절대로 ‘욕 좀 들었다고 안 죽어’ 라는 고함 뒤로 묻혀진 희미한 메아리 같은 게 아니라고


말은 사람을 부숴


하지만 우리의 삶은 언제까지나

흔들리며 균형잡는 속에서 지속될 거야

말하자면 이런 거지


고통과 최소한으로 관계하며

아름다움을 향해 나아가는 것





When I was a kid

I used to think that pork chops and karate chops

were the same thing

I thought they were both pork chops

and because my grandmother thought it was cute

and because they were my favourite

she let me keep doing it


not really a big deal


one day

before I realized fat kids are not designed to climb trees

I fell out of a tree

and bruised the right side of my body


I didn’t want to tell my grandmother about it

because I was afraid I’d get in trouble

for playing somewhere that I shouldn’t have been


a few days later the gym teacher noticed the bruise

and I got sent to the principal’s office

from there I was sent to another small room

with a really nice lady

who asked me all kinds of questions

about my life at home


I saw no reason to lie

as far as I was concerned

life was pretty good

I told her “whenever I’m sad

my grandmother gives me karate chops”


this led to a full scale investigation

and I was removed from the house for three days

until they finally decided to ask how I got the bruises


news of this silly little story quickly spread through the school

and I earned my first nickname


pork chop


to this day

I hate pork chops


I’m not the only kid

who grew up this way

surrounded by people who used to say

that rhyme about sticks and stones

as if broken bones

hurt more than the names we got called

and we got called them all

so we grew up believing no one

would ever fall in love with us

that we’d be lonely forever

that we’d never meet someone

to make us feel like the sun

was something they built for us

in their tool shed

so broken heart strings bled the blues

as we tried to empty ourselves

so we would feel nothing

don’t tell me that hurts less than a broken bone

that an ingrown life

is something surgeons can cut away

that there’s no way for it to metastasize


it does


she was eight years old

our first day of grade three

when she got called ugly

we both got moved to the back of the class

so we would stop get bombarded by spit balls

but the school halls were a battleground

where we found ourselves outnumbered day after wretched day

we used to stay inside for recess

because outside was worse

outside we’d have to rehearse running away

or learn to stay still like statues giving no clues that we were there

in grade five they taped a sign to her desk

that read beware of dog


to this day

despite a loving husband

she doesn’t think she’s beautiful

because of a birthmark

that takes up a little less than half of her face

kids used to say she looks like a wrong answer

that someone tried to erase

but couldn’t quite get the job done

and they’ll never understand

that she’s raising two kids

whose definition of beauty

begins with the word mom

because they see her heart

before they see her skin

that she’s only ever always been amazing


he

was a broken branch

grafted onto a different family tree

adopted

but not because his parents opted for a different destiny

he was three when he became a mixed drink

of one part left alone

and two parts tragedy

started therapy in 8th grade

had a personality made up of tests and pills

lived like the uphills were mountains

and the downhills were cliffs

four fifths suicidal

a tidal wave of anti depressants

and an adolescence of being called popper

one part because of the pills

and ninety nine parts because of the cruelty

he tried to kill himself in grade ten

when a kid who still had his mom and dad

had the audacity to tell him “get over it” as if depression

is something that can be remedied

by any of the contents found in a first aid kit


to this day

he is a stick on TNT lit from both ends

could describe to you in detail the way the sky bends

in the moments before it’s about to fall

and despite an army of friends

who all call him an inspiration

he remains a conversation piece between people

who can’t understand

sometimes becoming drug free

has less to do with addiction

and more to do with sanity


we weren’t the only kids who grew up this way

to this day

kids are still being called names

the classics were

hey stupid

hey spaz

seems like each school has an arsenal of names

getting updated every year

and if a kid breaks in a school

and no one around chooses to hear

do they make a sound?

are they just the background noise

of a soundtrack stuck on repeat

when people say things like

kids can be cruel?


every school was a big top circus tent

and the pecking order went

from acrobats to lion tamers

from clowns to carnies

all of these were miles ahead of who we were

we were freaks

lobster claw boys and bearded ladies

oddities

juggling depression and loneliness playing solitaire spin the bottle

trying to kiss the wounded parts of ourselves and heal

but at night

while the others slept

we kept walking the tightrope

it was practice

and yeah

some of us fell


but I want to tell them

that all of this shit

is just debris

leftover when we finally decide to smash all the things we thought

we used to be

and if you can’t see anything beautiful about yourself

get a better mirror

look a little closer

stare a little longer

because there’s something inside you

that made you keep trying

despite everyone who told you to quit

you built a cast around your broken heart

and signed it yourself

you signed it

“they were wrong”

because maybe you didn’t belong to a group or a click

maybe they decided to pick you last for basketball or everything

maybe you used to bring bruises and broken teeth

to show and tell but never told

because how can you hold your ground

if everyone around you wants to bury you beneath it

you have to believe that they were wrong


they have to be wrong


why else would we still be here?

we grew up learning to cheer on the underdog

because we see ourselves in them

we stem from a root planted in the belief

that we are not what we were called we are not abandoned cars stalled out and sitting empty on a highway

and if in some way we are

don’t worry

we only got out to walk and get gas

we are graduating members from the class of

fuck off we made it

not the faded echoes of voices crying out

names will never hurt me


of course

they did


but our lives will only ever always

continue to be

a balancing act

that has less to do with pain

and more to do with beauty.




to this day / shane koyczan

translated by lonegunman


'S > shane koyczan'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gic turn of events / move pen move  (0) 2016.01.24
AND

sonnet 29

R/rufus wainwright 2019. 2. 14. 20:27




운명이, 타인의 시선이 나를 경멸하여
나는 홀로, 버림받은 신세를 한탄하며
하릴없는 울음으로 귀머거리 하늘을 괴롭히고
처지를 절감하며 스스로를 저주하니

희망이 많기로는 이 사람,
용모가 수려하기로는 저 사람,
친구가 많기로는 그 사람과 같기를,
이 사람의 재주와,
저 사람의 권세를 부러워하며
내 가진 것에는 만족을 느끼지 못할 때
이와 같은 생각들로 나 자신을 거의 경멸하다가도

문득 그대를 생각하면, 나는
첫 새벽 적막한 대지로부터 날아오른 종달새처럼
천국의 문턱에서 노래 부르니
그대의 사랑을 생각하면 곧 부귀에 넘쳐
나의 운명을 제왕과도 바꾸지 아니 하노라




When in disgrace with fortune and men’s eyes I all alone beweep my outcast state And trouble deaf heaven with my bootless cries And look upon myself and curse my fate Wishing me like to one more rich in hope Featured like him, like him with friends possessed Desiring this man’s art, and that man’s scope With what I most enjoy contented least Yet in these thoughts myself almost despising Haply I think on thee and then my state Like to the lark at break of day arising From sullen earth sings hymns at heaven’s gate For thy sweet love remembered such wealth brings That then I scorn to change my state with kings



sonnet 29 / rufus wainwright


'R > rufus wainwr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one man guy  (0) 2009.11.05
i eat dinner  (0) 2008.08.02
cigarettes and chocolate milk  (0) 2008.08.01
going to a town  (0) 2008.07.31
in my arms  (0) 2008.07.29
AND